*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일대【日戴】태양 주위에 청적황백색의 운기(雲氣)가 나타나는 현상 중 상부 주위에 솟아난 듯이 보이는 것을 ‘일대’라 한다. 이런 현상은 해무리(日暈)가 졌을 때에 잘 보이며, 예전에는 이것을 길조(吉兆)로 여겼다.

일대노응【逸待勞應】일은 나의 안일함을 뜻한 것으로 조용히 있는 달을 비유한 말이고, 노(勞)는 적(敵)의 피로함을 뜻한 것으로 어지러이 다니는 구름을 비유한 말이다.

일덕【一德】일덕은 순수하고 한결같은[純一] 덕으로 군신간에 마음과 덕이 같은 것을 말함. 서경(書經) 함유일덕(咸有一德)에 “명두는 이를 열어 일덕을 항상 구하다.”[啓迪有命眷求一德]라고 했다.

일도【一棹】노 하나. 여기서는 작은 배 한 척을 가리킴.

일도양단【一刀兩斷】한 칼에 두 동강을 냄. 일이나 행동을 머뭇거리지 않고 선뜻 결정함.

일두시백편【一斗詩百篇】두보(杜甫)의 음중팔선가(飮中八仙歌)에 “이백은 술 한 말에 시가 일백 편인데 장안의 시장가 술집에서 잠을 자도다 천자가 오라고 불러도 배에 오르지 못하고 신은 바로 술 가운데 신선이라 자칭하누나[李白一斗詩百篇 長安市上酒家眠 天子呼來不上船 自稱臣是酒中仙]” 한 데서 온 말이다. 《杜少陵集 卷二》

일두양【一頭讓】상대방을 추켜주는 말이다. 송 나라 때 문장가인 구양수(歐陽脩)가 소식(蘇軾)의 편지를 읽다가 자신도 모르게 기쁨에 넘쳐서 “시원하고 시원하구나. 노부가 길에서 만나면 마땅히 길을 피하여 한 머리만큼 앞서게 하겠다.” 하였다.

일두혈심【一斗血心】충용(忠勇)한 장수를 가리키는 말이다. 삼국 시대 촉(蜀) 나라 장수 강유(姜維)가 죽은 뒤에 살펴보니 그의 간담이 말[斗]만큼 컸다는 고사를 전용(轉用)한 것이다. 《三國志 蜀書 姜維傳》

일득우【一得愚】어리석은 사람도 옳은 생각이 있다는 뜻이다. 통감(通鑑) 권사(卷四) 전한기(前漢紀)에 “광무군(廣武君) 이좌거(李左車)가 한신(韓信)에게 ‘지혜로운 사람도 천 번 생각함에 한 번의 실수가 있고, 어리석은 사람도 천 번 생각함에 한 번의 옳은 것이 있다.’ 했다.” 하였다.

일려일성【一旅一成】적은 수의 인력과 작은 면적의 땅을 뜻하는 말로 원래 춘추(春秋) 좌전(左傳) 애공(哀公) 원년 조(元年條)에 나오는 말이다. 육수부(陸秀夫)가 항쟁 도중 천자가 죽자 흩어지려하는 대중을 독려하면서, “옛사람은 일려일성으로 중흥을 이룬 이가 있었다. 지금 백관 유사(有司)가 모두 갖추어져 있고 사졸(士卒)이 수만이니, 만약 하늘이 송 나라의 국운을 끊어버리려 하지 않는다면 어찌 나라를 이룰 수 없겠는가.” 한데서 유래한다. 《宋史 卷四百五十一 陸秀夫列傳》

일마관찰사【一馬觀察使】뇌물을 받은 관찰사를 비웃는 말.

일마도강【一馬渡江】서진(西晉) 말에 중원에 대란(大亂)이 발생하여, 사마씨(司馬氏)의 다섯 친왕(親王)이 난리를 피해 강남(江南)으로 옮긴 뒤 진 원제(晉元帝) 사마예(司馬睿)가 동진(東晉)을 세웠는데, 이 일을 두고 “다섯 필의 말이 강을 건너가서, 한 마리의 말이 용이 되었네.[五馬遊渡江 一馬化爲龍]”라는 동요가 유행했다고 한다. 《晉書 卷28 五行志中》

일만팔천세【一萬八千歲】삼황, 즉 복희(伏羲), 신농(神農), 헌원(軒轅) 이전의 천황(天皇) 지황(地皇) 시대에는 수명이 일만 팔천 세였다는 말이 사략(史略) 첫머리에 나온다.

일망무제【一望無際】한 번 바라봄에 끝이 없음. 한 눈에 바라볼 수 없을 만큼 넓고 넓어서 아득히 끝이 없음. 일망무애(一望無涯)

일망타진【一網打盡】한 번의 그물질로 고기떼를 모두 공격하여 잡음. 한꺼번에 모조리 다 잡음.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